2016' 07. 06 아침 중앙일보에서
그리스도교는 영성의 종교인가, 욕망의 종교인가?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고,
찾는 이는 얻고,
문을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다.” (마태복음 7장7~8절)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고,
찾는 이는 얻고,
문을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다.” (마태복음 7장7~8절)
삶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한쪽은 에고를 키우는 길이고, 다른쪽은 에고를 줄이는 길이다. 한쪽은 ‘나의 뜻’을 따르는 길이고, 다른쪽은 나의 뜻이 무너진 곳으로 드러나는 ‘아버지의 뜻’을 따르는 길이다. 예수는 후자를 따랐다. 자신의 목숨까지 내놓은 채 그 길을 따랐다. 예수가 설한 그리스도교는 ‘욕망의 종교’가 아니라 ‘영성의 종교’였다. 그런데 우리는 왜 그 길이 싫은 걸까. 자꾸만 거꾸로 가고 싶을까. ‘영성의 종교’가 아니라 ‘욕망의 종교’를 따라가고 싶은 걸까.‘욕망의 눈’으로 보면 성경 전체가 ‘도깨비 방망이’다. 그 눈을 허물고 보면 다르다. 성경은 과학이다. 나와 인간과 세상과 우주의 존재원리에 대해 설명하는 깊은 과학이다. 예수는 온갖 비유를 들어 그 속에 흐르는 이치를 풀어놓았다. 다만 그런 비유들이 우리가 가진 ‘욕망의 눈’을 관통하며 왜곡될 때가 문제다. “내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 뜻대로 하소서”라고 했던 예수의 기도가 우리의 눈을 통과하면서 “아버지 뜻대로 마시고 내 뜻대로 하소서”라는 기도가 되고 만다.
2000년 전에도 숱한 이들이 예수를 찾아왔다. 몸이 아픈 이들도 있고, 마음이 아픈 이들도 있었다. 삶에 대한 물음을 도무지 풀지 못해 찾아온 이들도 있었다. 그들을 향해 예수는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라고 했다. 또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는다”고 했다. 왜 그랬을까.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하느님 나라에 가는 게 아니다”라며 ‘기복적 태도’를 신랄하게 공격했던 예수가 왜 그런 말을 했을까. 예수가 말한 청함과 두드림에는 어떤 뜻이 숨어 있는 걸까.불교의 『금강경』에는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이란 구절이 있다. ‘마땅히 머무는 바없이 그 마음을 내라’는 뜻이다. 여기서 ‘머무름’은 집착을 말한다. 가령 어제 점심때 억울하고 불쾌한 일을 당했다고 하자. 하루가 지났지만 자꾸만 생각난다. 어제 일은 시간과 함께 이미 흘러가 버렸는데도 자꾸만 떠오른다. 왜 그럴까. 내 마음이 ‘그 일’을 붙잡고 있기 때문이다. 끈적끈적한 집착제를 바른 채 ‘그 일’을 움켜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는 마음이 흘러가지 않는다. 그래서 머문다.
무언가 청하는 일. 무언가 찾는 일. 간절하게 문을 두드리는 일. 그 모두가 ‘마음을 내는 일(生心)’이다. 기도도 마찬가지다. 신의 마음을 향해 내 마음을 일으키는 일이다. 그렇게 일으킨 마음이 신의 마음으로 흘러가길 바라는 일이다. 그게 기도다. 우리는 그렇게 청하고, 그렇게 찾고, 그렇게 문을 두드린다. 그런데 기도할 때 ‘착(着)’이 생기면 어찌 될까. 애착이든 집착이든 말이다. 그럼 브레이크가 걸린다. 내가 아무리 마음을 일으켜도 ‘접착제의 울타리’를 벗어날 수가 없다.
그래서 붓다는 “머무는 바없이 마음을 내라”고 했다. 그 구절 앞에 ‘마땅히!’라는 말까지 넣었다. 붓다는 왜 그 말을 넣었을까. ‘머무는 바없이 마음을 내라’는 대목 앞에 왜 ‘마땅히’라는 단어를 굳이 집어넣었을까. 이치이기 때문이다. 빗방울은 하늘에서 땅으로 떨어진다. 땅에서 하늘로 떨어지지 않는다. 강물도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아래에서 위로 흐르지 않는다. 봄이 되면 꽃이 피고, 가을이면 낙엽이 진다. 그게 이치다. 인간과 세상과 우주를 관통하는 신의 섭리다. 마찬가지다. 붙들고 있으면 마음이 흐를 수가 없다. 붙들지 않을 때 내 마음이 흘러간다. 그렇게 흘러야 건너갈 수 있다. 내 마음에서 신의 마음으로 건너갈 수 있다. 마음이 통할 때 기도도 통한다.‘누가복음’에서 예수는 더 자세하게 일러준다.
너희 가운데 어느 아버지가 아들이 생선을 청하는데, 생선 대신에 뱀을 주겠느냐? 달걀을 청하는데 전갈을 주겠느냐? 너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성령을 얼마나 더 잘 주시겠느냐?”(누가복음 11장11~13절)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머무는 바없이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머무는 바없이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머무는 바없이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머무는 바없이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머무는 바없이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겟세마네 바위에서 기도할 때 예수는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 있었다. 제자들을 데리고 얼른 달아나면 예루살렘을 벗어날 수도 있었다. 십자가 죽음을 면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예수는 도망치지 않았다. 피로에 절어서 잠에 떨어진 제자들을 뒤로 한 채 예수는 홀로 엎드려 기도했다. “가능하면 이 잔이 저를 비켜가게 하소서.” 그랬다. 예수는 죽음을 원하지 않았다. ‘십자가의 죽음’이 자신을 비켜가길 바랬다. 그게 예수의 뜻이었다. 그러나 예수는 ‘나의 뜻’에 접착제를 바르지 않았다. 거기에 머물지 않았다. 자신의 집착을 허물고 머무는 바없이 기도를 했다. “그러나 제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 뜻대로 하소서.” 그렇게 기도를 했다. 머무는 바없을 때 기도가 통한다. 그럴 때 문이 열린다.사람들은 묻는다. “그럼 자식이 대입 수능시험을 치를 때는 어떡해야 하나. 어떻게 기도를 해야 하나.” 자식의 수능시험뿐만 아니다. 우리가 살면서 마주치는 온갖 파도들. 높고 낮은 파도들, 크고 작은 파도들 앞에서 우리는 기도를 한다. 그때는 어떻게 기도를 해야 할까. 어떻게 기도해야 문이 열릴까.
먼저 나의 기도에 손가락을 대봐야 한다. 끈적끈적한 접착제가 묻어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우리 아이가 대학 입시에 절대 떨어져서는 안 돼. 어떠한 일이 있어도 합격해야 해. 떨어지는 건 있을 수도 없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야. 그러니 하느님. 꼭 합격하게 해주세요”라며 마음을 꽉 움켜쥐고 기도를 한다면 어찌 될까. 그런 기도가 과연 ‘출항의 뱃고동’을 울릴 수 있을까. 신을 향해 떠나려는 기도를 스스로 붙들고 마는 셈이다.가령 하얀 도화지가 있다. 그걸 신의 속성이라고 하자. 그 위에 검정 잉크가 한 방울 떨어졌다. 그게 나의 집착이다. 집착할 때, 나는 잉크 속에 잠긴다. 거기서 기도를 한다. 절절하게 기도를 한다. 그런데 이상하다. 아무리 애를 써도 기도는 멀리 가지 못한다. 까만 잉크 안에서 계속 맴돌 뿐이다. 왜 그럴까. 나의 기도에 내가 접착제를 발랐기 때문이다.
머무는 바없이 마음을 내는 기도는 다르다. 집착하지 않는다. 그럼 잉크가 지워진다. 잉크가 지워질 때 바탕에 있던 도화지가 드러난다. 그때 기도를 한다. 그럼 도화지 위에서, 신의 속성 안에서 기도를 하게 된다. 잉크의 기도가 도화지에 잘 전달될까, 도화지의 기도가 도화지에 잘 전달될까. 무엇이든 속성이 같을 때 서로 통한다. 기도도 마찬가지다. 머무는 기도와 머물지 않는 기도는 다르다. 밧줄로 묶인 채 항구에서 뱃고동만 울리는 배는 출항할 수 없다. 바다로 갈 수 없다. 신의 속성으로 건너갈 수 없다.
그럼 어떻게 기도해야 할까. 자식의 대학 입시를 위해서 말이다. “주님, 저희 아이가 차분한 마음으로 시험을 대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두려움 없이 최선을 다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아이의 시험을 위해 제가 지혜롭게 뒷바라지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저의 집착이나 욕심으로 인해 아이에게 심적인 부담을 주지 않기를 기도합니다. 어떠한 결과든 아이와 제가 삶의 파도를 받아들이듯 기꺼이 수용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만약 이런 식의 기도라면 어떨까. 여기에는 ‘머무름’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내려 놓음’이 보인다. 머물지 않는 기도는 항구를 떠난다. 바다를 향해, 신의 속성을 향해 나아간다.나는 눈을 감고 예수의 어록을 다시 묵상한다.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고,
찾는 이는 얻고,
문을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다.” (마태복음 7장7~8절)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고,
찾는 이는 얻고,
문을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다.” (마태복음 7장7~8절)
(자신의 십자가를 짊어진 채)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자신의 십자가를 짊어진 채)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자신의 십자가를 짊어진 채)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자신의 십자가를 짊어진 채)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자신의 십자가를 짊어진 채)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아브라함도 그랬다. 아브라함은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그리고 이슬람교의 조상이다. 하나의 뿌리에서 나온 세 종교. 그들 모두의 조상이다. 아브라함에게는 자식이 없었다. 부인 사라의 요청으로 하녀 하갈에게서 먼저 아들을 봤다. 그가 이스마엘이다. 사라에게서는 아브라함이 100세쯤 됐을 때 아들이 태어났다. 그가 이삭이다.
하느님은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바치라고 했다. 처음 태어난 송아지도 아니고, 처음 태어난 어린 염소도 아니었다. 처음 태어난 자식을 바치라고 했다. 내가 가장 집착하는 대상. 하느님은 그걸 내려놓으라고 했다. 아브라함의 심정이 어땠을까. 얼마나 머리가 아팠을까. 얼마나 가슴이 아팠을까. 당시 중동 지역의 이민족들이 믿던 종교에서는 실제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풍습도 있었다. 그러나 유대교는 달랐다. 사람 대신 처음 태어난 가축의 새끼를 바쳤다. 그것으로 ‘사람 제물’을 대신했다. 그런데도 하느님은 아브라함에게 자식을 바치라고 했다. 그리스도교 성경에는 그 자식이 ‘이삭’으로 기록돼 있다. 이슬람교에서는 이삭이 아니라 하갈의 자식인 ‘이스마엘’로 본다. 이삭보다 나이가 많았던 이스마엘을 첫 자식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삭이 유대 민족의 조상이듯 이스마엘은 이슬람 민족의 조상이다.아브라함은 결국 자식을 데리고 산으로 갔다.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장소였다. 아브라함은 얼마나 망설였을까. 몇 번이나 주저했을까. 그러다가 결국 칼을 빼들었다. 내려치려는 순간, 천사가 나타났다. 우리도 그렇다. 나의 집착을 내려놓을 때 천사를 만난다. 신의 속성을 만난다. 그런 순간에 기도가 항구를 떠나기 때문이다. 그러니 ‘각자의 십자가’를 어디서 찾아야 할까. 나의 기도 속에서 찾아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수시로 기도를 한다. 크고 작은 삶의 파도 앞에서 기도를 한다. 파도를 치워달라고, 파도를 재워달라고 기도한다. 그런데 예수가 우리에게 궁극적으로 건네려는 것은 파도가 아니다. 그 모든 파도를 품고 있는 바다다. ‘누가복음’에서 예수는 분명하게 말했다.
너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성령을 얼마나 더 잘 주시겠느냐?”(누가복음 11장13절)
그 사람이 벗이라는 이유 때문에 일어나서 빵을 주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그가 줄곧 졸라 대면 마침내 일어나서 그에게 필요한 만큼 다 줄 것이다.”(누가복음 11장8절)
우리가 이미 도화지 안에 있으면서, 도화지를 깨닫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랑과 행복&소망^-^] > 믿음과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셉회 7월신도주일 (0) | 2016.07.10 |
---|---|
인류 최초의 부부싸움은 어떻게 생겼을까? (0) | 2016.07.07 |
한마음 체육대회 (0) | 2016.06.12 |
2016' 효도관광 (0) | 2016.05.28 |
하나님의 뜻을 거룩하게 하라. (0) | 2016.01.14 |